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SCHD vs 국내 미국배당다우존스 어떤 ETF가 좋을까?

by 시작이반의반 2025. 4. 14.

SCHD 해외직투 vs 미국배당다우존스 국내투자
SCHD vs 국내 미국배당다우존스 ETF 선택에 대한 고민

미국 배당 ETF 투자에 관심 있는 분이라면 한 번쯤은 SCHD를 들어보셨을 겁니다.

최근에는 국내 증권사에서도 SCHD의 기초지수를 추종하는 ETF를 잇달아 출시하면서,

이제는 해외 직투로 SCHD를 투자할지 국내 상장된 미국 배당다우존스로 투자할지 고민이 생겼습니다.

저 또한 꽤 많은 고민을 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SCHD 직접 투자와 국내 미국다우존스 ETF의 차이점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개인적인 의견이 다소 포함되어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저와 같이 고민 중이신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SCHD vs 국내 미국배당다우존스

 

항목
SCHD 국내 미국배당다우존스
운용 규모 약 60조 원
(2021년 상장, 13년 차)
약 1조 원
(2021~2023년 상장, 2~3년 차)
배당 주기
분기배당 월배당
운용 보수 0.06% 0.0099~0.01%
세금 일반계좌: 15.4% + 비과 250만원
절세계좌: 불가능
일반계좌: 15.4%
절세계좌: 9.9% + 비과세 200만원
통화 달러 원화

1. 안정성, 성장성: SCHD

자산규모를 보면 안정성으로는 SCHD가 확실히 앞섭니다.

국내 ETF는 유사한 성과를 보여주고 있지만, 운용 기간이 짧아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성장성 면에서도 본토 SCHD를 뛰어넘긴 어렵다고 판단됩니다.

 

2. 현금흐름: 국내 미국배당다우존스

국내 ETF는 월배당을 제공해 월급처럼 배당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현금흐름이 중요한 투자자에게 유리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3. 운용보수: 국내 미국배당다우존스

국내 ETF가 더 저렴한 보수를 제공합니다.

ex 1억 원 투자 시

  • SCHD는 연 보수 약 6만 원
  • 국내 ETF는 연 보수 약 1만 원

 

4. 세금: 국내 미국배당다우존스

두 ETF 모두 기본 세율은 15.4%로 동일하지만 절세계좌(ISA)를 활용하면 수익 200만 원까지 비과세, 초과분은 9.9% 분리과세가 적용되어 유리합니다.

ex 1억 원 투자 후 3년간 수익이 약 340만 원 발생

  • 일반계좌: 약 52만 원 세금
  • 절세계좌: 약 13만 원 세금

 

5. 통화: SCHD

달러 자산을 보유하는 게 득이 될지 실이 될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그래도 장기적으로 달러 자산이 더 유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은 충분히 고려해 볼 만하다고 생각합니다.

 

 

SCHD vs 국내 미국배당다우존스, 내 선택은?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국내 ETF를 모아가기로 결정했습니다. 무엇보다도 세금이 가장 큰 이유였던 것 같습니다.

SCHD ETF는 특성상 최소 5-10년을 바라보고 투자해야 꽃을 피우는 장기투자 종목입니다.

지금 당장은 크게 느껴지지 않더라도 장기적으로 봤을 때 세금은 큰 부담이 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장기적으로 세금 부담
장기투자 세금부담

저는 절세계좌를 적극 활용하여 국내 미국배당다우존스 ETF를 꾸준히 모으려고 합니다.

2-3년이라는 짧은 운용기간이라는 점을 고려해서 어느 정도 소액에서 점점 늘려서 투자할 계획입니다.

그리고 여유돈이 있다면 해외직투도 병행하는 게 가장 좋다고 판단했습니다.

 

 

 

 

끝으로..

 

아무것도 모르고 여유돈과 1년간 적립식 투자로 현재 SCHD를 728주를 모았습니다.

(요즘 관세 관련 이슈로 많이 떨어졌지만.. 언젠간 회복하겠죠?ㅎㅎ)

SCHD 해외직투 수량
SCHD 투자 현황

이번 계기로 앞으로 5년, 10년 투자를 이어가려면 절세계좌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는 것을 깨달았고,

해외주식도 병행할 계획이니 그대로 두고 절세계좌에 국내 ETF 수량 늘리기에 조금 더 집중해보려고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