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보기60 안드로이드 WiFi 소켓 통신 (예제 다운로드) 안드로이드 개발 환경에서 다양한 장비와 기기를 네트워크로 연결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기능은 필수적입니다.네트워크 통신에 관심이 많은 저는 이러한 다양한 통신 방식을하나의 모듈로 통합하고 관리할 수 있는 Connector 모듈을 작성하였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Connector 모듈을 활용해 안드로이드 WiFi 소켓 통신을 중점적으로 다룰 예정입니다.예제의 주요 코드를 살펴보고, 안드로이드 단말과 PC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테스트 방법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또한 예제 코드는 GitHub에서 다운로드하여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Connector 모듈 소개 먼저 Connector 모듈에 대해서 간단하게 살펴보겠습니다.Connector 모듈은 안드로이드에서 다양한 통신 방식을 하나의 구조로 통합하여 관리할.. 2024. 11. 16.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자동 정렬 및 줄바꿈 길이 설정 가이드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는 편리한 기능이 많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코드 자동 정렬 및 줄 바꿈 길이 설정을 통해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고 개발 생산성을 향상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자동 정렬 자동 정렬은 코드를 일관되게 유지하고 가독성을 높이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코드 자동 정렬 단축키는 Ctrl + Alt + L (Mac에서는 Cmd + Option + L)입니다.자동 정렬하려는 부분을 드래그로 선택해서 단축키로 실행하면 간단하게 정렬이 됩니다.전체코드를 정렬할 때 보통 전체선택(Ctrl + A) 후에 자동 정렬(Ctrl + Alt + L)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동 정렬 줄 바꿈 길이 설정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제공하는 자동 정렬은.. 2024. 8. 6. 안드로이드 화면 전환: Navigation 기능 사용법 및 예제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 개발에서 화면 전환은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이번글에서는 먼저 네비게이션 기능을 소개하고,네비게이션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화면 전환을 구현하는 방법과 예제를 통해 이를 살펴보려고 합니다. 네비게이션 기능 소개 안드로이드의 네비게이션 컴포넌트는 Jetpack 라이브러리의 일부로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화면 전환을 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 기능은 명확한 구조를 제공하며 코드의 복잡성을 줄여 줍니다. 주요 구성 요소 NavHostFragment: 네비게이션 그래프의 목적지(Fragment)를 표시하는 컨테이너입니다.Navigation Graph: XML 파일로 애플리케이션의 네비게이션 구조를 정의합니다.NavController: 네비게이션 그래프 내에서 전.. 2024. 7. 13.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무선 디버깅: ADB와 WiFi 페어링 방법 보통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단말과 USB 연결로 많이 사용하지만,USB 케이블이 없거나 단말 USB 포트 제한, 여러 디바이스 디버깅 등 제한 사항이 생길 수 있습니다.그렇기 때문에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무선 디버깅은 개발자들에게 매우 유용한 기능입니다.이번 글에서는 ADB 및 WiFi 페어링을 사용하여 무선 디버깅 연결하는 방법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무선 디버깅: ADB 활용 시작 전 체크사항ADB 설정을 위해 한 번의 USB 연결이 필요합니다.준비된 USB 케이블이 없다면 아래 WiFi 페어링 방법을 진행해 주세요. 1. USB 디버깅 활성화 - 디바이스 설정에서 [휴대전화 정보] > [소프트웨어 정보] > [빌드 번호] 7번 터치 - 디바이스 설정에서 [개발자 옵션] > [USB 디버깅] 활.. 2024. 7. 1.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플러터(Flutter) 환경 만들기 이번 글에서는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플러터(Flutter) 환경을 만들고 프로젝트까지 생성해보려고 합니다.플러터(Flutter)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크게 아래 세 가지 단계가 필요합니다. 1. SDK 다운로드2. SDK 환경변수 설정3. 플러그인 설치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는 설치되어 있고 윈도우 환경에서 진행하는 내용임을 참고해 주세요!그럼 플러터(Flutter) 환경 구축하는 방법을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플러터(Flutter) SDK 다운로드 아래 경로에서 플러터 SDK 최신버전을 다운로드합니다.https://docs.flutter.dev/release/archive?tab=windows Flutter SDK archiveAll current Flutter SDK releases: s.. 2024. 6. 14. 코틀린 싱글톤 패턴: 어떤 방법이 좋을까? 싱글톤 패턴은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하나만 생성하도록 보장하는 디자인 패턴입니다.코틀린에서 싱글톤 패턴을 구현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그중에서도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object 키워드, companion object, enum class 방법을 살펴본 후각각의 방법을 비교하고 어떤 상황에서 어떤 방법이 가장 적합한지 파악해보려고 합니다. 싱글톤 패턴이란? 싱글톤 패턴은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하나만 생성하도록 보장하는 디자인 패턴입니다.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전역에서 동일한 객체를 공유할 수 있으며전역 상태를 유지하거나 공통된 리소스를 사용할 때 유용합니다. 싱글톤 패턴의 필요성 싱글톤 패턴은 주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됩니다.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한 번의 설정으로 어디서나 사용 가능데이터.. 2024. 6. 13.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USB 연결 문제 해결: ADB 인식 안될 때 대처 안녕하세요!최근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USB를 통해 디바이스를 연결했을 때 ADB가 인식되지 않는 문제를 겪었습니다.이 문제를 해결했던 경험을 바탕으로이번 글에서 USB를 연결했는데 ADB가 인식되지 않을 때의 해결방법에 대해 살펴보려고 합니다.단계별로 하나씩 체크한다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USB 연결 문제 : ADB 인식 안 되는 현상 위 그림과 같이 USB를 통해 디바이스를 연결했지만 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목록에는 뜨지 않는 경우를 말합니다.(또는 "adb devices" 명령어에 대한 응답으로 디바이스 목록에 없는 경우) 해당 문제의 해결 방법으로 아래 단계별로 하나씩 체크해 본다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USB 디버깅 활성화 확인USB 설정 확USB 케이블 확인A.. 2024. 6. 7. 개발자와 인공지능 AI 함께 일하는 시대: 데빈(Devin AI) 인공지능 AI는 빠르게 발전하며 다양한 산업에 변화를 가져오고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세계 최초의 AI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Devin AI를 소개하고,개발자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생각을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세계 최초 AI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데빈(Devin AI) Devin AI는 Cognition AI에서 개발한 세계 최초의 자율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입니다. 2024년 3월 12일 공식적으로 발표되었으며 현재 초기 단계로 일부 프로젝트에서만 사용되고 있습니다. Devin AI는 복잡한 엔지니어링 작업을 계획하고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실시간 피드백을 통해 작업의 질을 높일 것입니다. ChatGPT, Gemini 잘 쓰고 있는데? ChatGPT, Gemini와 같은 여러 .. 2024. 5. 31. 안드로이드 디자인 패턴: MVVM 완벽 정리 안녕하세요!이번 글에서는 MVVM(Model-View-ViewModel) 패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MVVM 패턴은 MVC, MVP 패턴의 단점을 보완하고 UI와 비즈니스 로직을 분리하는데 중점을 둡니다.이제 MVVM 패턴의 개념, MVC, MVP 패턴과 비교해서 어떤 점이 보완되었는지,MVVM 패턴의 이해, MVVM 패턴의 장단점까지 살펴보겠습니다. MVVM 패턴이란? MVVM 패턴은 Mode, View, ViewModel 세 가지 구성 요소를 가지는 디자인 패턴입니다.각 구성 요소는 특정한 역할을 담당하고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1. 뷰 : View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담당합니다.사용자에게 입력을 뷰모델에게 전달하고, 데이터 바인딩을 통해 뷰모델 데이터가 화면에 자동.. 2024. 5. 27. 안드로이드 디자인 패턴 : MVP 완벽 정리 안녕하세요!이번 글에서는 MVP(Model-View-Presenter) 패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MVC 패턴과 마찬가지로 MVP 패턴도 애플리케이션의 구조를 명확히 하고, 유지 보수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이제 MVP 패턴의 개념, MVC 패턴과 비교해서 어떤 점이 보완되었는지,MVP 패턴의 이해, MVP 패턴의 장단점까지 살펴보겠습니다. MVP 패턴이란? MVP 패턴은 Model, View, Presenter 세 가지 구성 요소를 가지는 디자인 패턴입니다.각 구성 요소는 특정한 역할을 담당하고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1. 뷰 : View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담당합니다.사용자 입력을 받아 프리젠터에게 전달하고, 프리젠터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합니다. 2. .. 2024. 5. 25. 이전 1 2 3 4 5 6 다음